카테고리 없음

발목 접질렀을 때, 찜질방법 파스는 효과가 있나 혹시 멍까지 들었다면

산장맨 2023. 11. 8.

발목 접질렀을 때, 찜질방법 파스는 효과가 있나 혹시 멍까지 들었다면

POWERED BY TISTORY 이번 포스팅은 멍이 잘드는 이유와 병 그리고 부위별 멍 빼는 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멍은 피부가 자극을 받아 푸른색으로 변한 상태로 멍이 드는 이유는 신체의 일부가 어딘가에 부딪히거나 또는 주사를 맞는 등의 행위로 인해 혈관 속에 손상이 일어나 출혈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몸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한 출혈된 혈액들이 고여 어떨 때는 퍼렇게 또 어떨 때는 아주 빨간빛을 뛰는데 이를 멍이 든다라고 표현하는 것 입니다.

그러나 멍이 드는 것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남자보다는 여자가 멍이 잘들며 또 나이가 들수록 멍이 더 잘 듭니다. 또 성별과 나이에 관계없이 멍이 잘드는 사람이 있습니다.

 



발목 접지름 3도

3도는 인대가 완전히 파열된 것으로 찜질이나 깁스로는 해결이 안됩니다. 그냥 발목이 부러졌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 단계에서 치료법은 수술밖에 없습니다. 최근에는 내시경이 잘 되어있어 발목 인대 파열도 내시경 수술로 진행합니다. 내시경으로 파열된 인대를 확인해 봉합하고, 추가적으로 있을지 모르는 연골 손상도 찾아냅니다. 손상된 연골은 인대 일부를 잘라내 덮어주는 방안으로 치료가 가능합니다.

들어올리기

타박상을 입은 부위를 심장보다. 위로 올리세요. 이렇게 하면 통증을 완화하고 멍든 부위에서 액체를 빼내는데 도움이 됩니다. 높이를 높이면 과도하게 압력이 가해지는 것도 줄일 수 있어서 멍의 치료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아르니카는 염증과 붓기를 줄여주는 약초로 타박상에 이상적인 치료제입니다. 2010년 연구에서는 국소 아르니카 연고가 레이저로 인한 멍을 효율적으로 줄인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멍에 아르니카 연고나 젤을 하루에 몇 차례씩 바르시면 되고 구강으로도 복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멍 색깔이 시시가끔은 다른 이유는?

처음 멍을 발견하면 색이 어떤가요? 검붉은색이죠? 근데 시간이 지날수록 초록빛을 띄 다가 나중에는 노란색으로 변해 가는데요. 처음 멍이 들었을때는 피부 하단에서 출혈된 피가 응고가 된 상태로 있기에 붉게 보이죠. 헤모글로빈 성분이 붉은색을 띄거든요. 그러다가 검붉게 변하는데, 이것도 사람들 피부색에 따라서 다르게 보입니다.

지그시 압박하기

멍이 발생한 시점에는 모세혈관에 출혈이 일어나고 있는 상태입니다. 피부에 상처가 나면 피가나면 그 위를 눌러 지혈을 해주듯, 멍도 피멍이 발생한 부위를 지그시 눌러 멍이 더 커지지 않게 지혈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압박을 너무 쎄게 하면 멍이 더 커질 수 있으므로 양호한 강도로 5분 이상 눌러주는 것이 좋으며, 이 때 멍이 든 부위를 비비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붉게 피멍이 발생한 처음에는 피부 내 출혈과 함께 염증과 부기가 나타납니다.

이 때 냉찜질을 해주면 혈관을 수축해 피멍이 번지지 않게 예방해주며, 부종과 염증도 순식간에 가라앉혀 줍니다.

노란색과 갈색

부상 후 7일째가 지나면 멍이 옅은 노란색이나 밝은 갈색으로 변하기 시작합니다. 이것은 신체의 재흡수 과정의 마지막 단계입니다. 그리고 멍은 다시 다른 색으로는 변하지 않을 거입니다. 대신에, 그것은 점차 옅어져서 완전히 사라집니다.

어떤 경우 멍이 색깔이 잘 변하지 않고 건강해지는 것처럼 보이지 않을 때도 있어요.멍든 부위를 만지면 단단하고 크기가 점점 커지거나 붓고 시간이 지날수록 고통이 심해지는 멍은 혈종이 생겼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혈종은 피부 밑이나 근육에 피가 모이기 시작할 때 생기는 혹입니다. 혈종은 위에서 설명한 멍의 단계를 거치지 않으며 혈액은 몸 안에 막혀 있습니다. 그렇다면, 혈종을 제대로 빼내기 위해서는 의사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멍이 사라지지 않는 또 다른 흔치 않은 이유는 이소성 골화 가 있습니다. 이것은 몸이 부상 부위 근처에 칼슘 침전물을 쌓을 때 일어납니다.

멍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만약 멍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멍이 든지 2주가 지나도 사라지지 않는다면 단순 타박상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흑색종이나 혈관염, 혈액응고장애 등일 가능성이 있으니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으면 병원을 찾아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멍이 없어지지 않고 점점 커지며 색이 진해진다. 다친 기억이 뚜렷하지 않은데 멍이 수시로 발생합니다. 다리에 검붉은 혹은 자색의 자잘한 반점이 돋가 올라옵니다. 출혈코피, 잇몸출혈, 생리 양과 기간의 증가, 검거나 붉은 색의 변, 혈뇨 등이 동반되어 나타납니다.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