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61 지방선거 광역단체장 선거 당선인 교육감 당선인

산장맨 2023. 10. 11.

61 지방선거 광역단체장 선거 당선인 교육감 당선인

KBS 청주방송총국 의뢰, 케이스탯리서치 5월 20일22일 충북 11개 시군에 거주하는 만 열여덟살 이상 남녀 5,526명 대상 조사 충북교육감 후보 적합도 김병우 후보 42.3, 윤건영 후보 38.3, 없습니다.. 11.1, 모름무응답 8.2 지지 여부와 상관없이 무관하게 당선 가능성 김병우 후보 36.3, 윤건영 후보 24.6 단일화 이전인 2주 전 진행된 여론 조사와 비교해보시면 두 후보 간 격차는 크게 줄었습니다. 흩어져 있던 보수층 표심이 단일화 이후, 결집되며 윤 후보의 지지세가 크게 오른 것으로 풀이됩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에선 윤 후보의 지지세가, 나머지 연령대에서는 김 후보의 지지세가 더 높았습니다. 직업별로는 기능노무 서비스와 사무 관리, 학생에서 김 후보의 지지세가, 농림어업과 자영업, 가정주부에선 윤 후보의 지지세가 두드러졌습니다.

 

 

61 지방선거 광역단체장 선거

서울시장 선거결과

서울시장 선거결과 오세훈이 당선되었습니다. 오세훈은 4선이라는 이야기가 많았습니다. 재보궐선거로 당선되었던 임기는 1년으로 짧았기 때문이 4선이 맞느냐 논란이 있기는 했는데요. 총 4번 서울시장 선거에 당선이 되기는 했습니다. 첫번째로는 제 33대, 34대 서울시장을 지냈고 2006년 7월 1일부터2011년 8월 26일까지였습니다. 그리고 제 38대 서울시장에 보궐선거로 당선되어 짧은 임기를 거쳤으며 제 39대 서울시장에 당선되었습니다.

제 38대의 경우 2021년 4월 8일에 보궐선거 당선된 뒤 1년여만에 재출마를 하게 되어 4선이 맞느냐 논란이 있었습니다만 선거를 치뤄 당선된 것은 맞으니 4선으로 보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역대 서울특별시장 중에서 4선으로 최초 최다선이며, 역대 최초 민선 광역자치단체장 4선이라는 기록을 세우게 되었습니다.

교육감 선거 결과, 보수 진보 진영 결과

지방선거에서 또하나 진행되는 것이 교육감 선거입니다. 교육감은 아이들의 교육의 방향성을 잡아가는 중요한 자리이기 때문에 사랑을 갖고 지켜볼 필요가 있는데요. 교육감 후보들이 정당이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지만 스스로가 갖고 있는 성향에 따라 진보 보수로 나뉩니다. 총 17곳의 선거가 이뤄졌는데 진보 9, 보수8 으로 나뉘었습니다. 진보교육감이 보수로 많이 바뀌었다는 점이 새롭습니다.

진보성향을 가진 교육감은 총 8명입니다. 서울시 교육감 조희연, 인천시 교육감 도성훈, 광주시 교육감 이정선, 울산시 교육감 노옥희, 충남시 교육감 김지철, 전북시 교육감 서거석, 전남시교육감 김대중, 세종시 교육감 최교진 입니다. 특히 서울시 교육감 조희연은 최근에 3번째 당선입니다. 인천시 교육감 도성훈 역시 2선이고 울산시 교육감 노옥희도 2선입니다.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