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제사상 차리는 법 설 제사 상차림새 제사 음식 배치 총정리
제사 음식을 제수라 부르며 제수를 놓는 과정에서 따라 의미가 있어 제사상 차리는 방법이 정해져 있습니다. 제사상 차리는 방법은 지역과 가정에 따라 음식 종류와 순서는 상이하지만 큰 틀에서는 거의 비슷합니다. 제사상 차리는 법과 제사와 차례의 틀린점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열 밥과 국, 시접, 잔반술잔, 받침대을 놓고 설날 차례상에는 떡국을 올립니다. 2열 육전, 육적, 소적, 어적, 어전 등이 놓입니다. 3열 생선, 두부, 고기탕 등의 탕류를 놓습니다.
4열 포, 삼색나물, 간장, 식혜 등을 놓습니다.
설날 차례 상 차리는 방법
설날 제사상은 조상의 신위가 있는 쪽을 북쪽을 보고 제사의 주장이 되는 상제인 제주의 시점에서 오른쪽을 동쪽, 왼쪽을 서쪽으로 보게 됩니다. 1열 신위 식사류인 밥이나 떡국 등 국이 올라가고 추석에는 떡국 대신 송편이 대체하게 되는 등 반서갱동에 따라 밥은 서쪽으로 국은 동쪽에 놓고 고서비동에 따라 술잔과 송편을 놓는 줄 앞에서 볼 때 떡국이나 송편은 우측 술잔은 좌측에 놓아줍니다. 2열 전과 적 어동육서에 따라 생선은 동쪽에, 고기는 서쪽에 놓고 동두서미에 따라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으로 놓아줍니다.
보통 세 개의 탕인 육탕육류 탕과 소탕두부와 채소류의 탕, 어탕어류탕의 순으로 놓아줍니다.
지방 쓰는 방법
지방은 제사를 모시는 대상을 상징하는 것으로, 사당에서 쓰는 신주 대신 임시로 만드는 위패를 말합니다. 깨끗한 흰 종이에 고인의 이름 등을 적어 사용하며 고인의 위치와 제사지내는 사람과의 관계에 따라 작성법이 달라진다. 죽은 사람의 혼을 대신하는 것이므로 제사 직전에 만들었다가 제사를 마치면 소각합니다. 다음 백과 위치
고위(아버지)를 왼쪽에 쓰고 비위(어머니)를 오른쪽에 씁니다.
한 분만 돌아가셨을 경우 사망한 분만 중앙에 씁니다.
설날 지방 쓰는 법
지방은 차례를 모시는 대상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임시로 종이에 글을 적어 고인의 이름과 사망 날짜 등이 적힌 위패를 대신해 쓰이는 방식으로 제사 지방 쓰는 방법은 지방은 폭 6cm 정도의 길이 22cm 정도가 적당하며 한지나 백지를 사용하며 지방은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 제주의 관계, 고인의 직위, 고인의 이름, 고인의 자리, 신위의 순서대로 적는 것이 원칙으로 고위아버지를 왼쪽, 비위어머니를 오른쪽에 쓰며, 한 분만 돌아가셨을 경우에는 중앙에 쓰게 됩니다.
예시 아버지의 차례를 지낼 경우 현고학생부군신위, 어머니의 경우 현비유인 000 씨신위라고 적어줍니다. ※ 지방은 한자로 쓰는 것이 전통이지만 최근에는 한글로도 쓰기도 하기 때문에 지방 상단의 모서리가 접히거나 잘리지 않도록 하여 한글로 적어주셔도 됩니다.
제사와 차례의 차이점
기제사는 해마다. 사망한 고인이 죽은 날 닭이 울기 전에 지내는 제사입니다. 사망한 날을 기일이라고 하고 사망한 후 1년 뒤부터 연마다 같은 날 지내는 제사가 기제이고, 이를 제사라고 부릅니다. 차례는 달이나 계절, 해가 바뀌어 새로운 계절이 찾아 왔음을 조상에게 알리면서 계절음식과 명절 음식을 올리는 의례입니다. 명절에 조상께 먼저 음식을 올려서 맛보게 한다는 뜻으로 다음 해에도 조상의 음덕으로 넉넉한 수확이 보장된다고 믿어 올리는 의례입니다.
합문 유식후 조상신들이 음식 드시라고 문을 닫고 나가는 것을 말합니다. 계문은 합문의 반대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설날 차례 상 차리는 방법
설날 제사상은 조상의 신위가 있는 쪽을 북쪽을 보고 제사의 주장이 되는 상제인 제주의 시점에서 오른쪽을 동쪽, 왼쪽을 서쪽으로 보게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지방 쓰는 방법
지방은 제사를 모시는 대상을 상징하는 것으로, 사당에서 쓰는 신주 대신 임시로 만드는 위패를 말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지방 쓰는 방법
성균관은 올바른 차례상 차리는 법을 공개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
댓글